Git - 1
Git 설치 :
다운받고 Next * 반복 후 finish.
설치가 완료된 git bash를 실행하면 리눅스기반 명령어를 통해 git을 제어할 수 있다.
저장소 만들기 :
cd (change directory),
mkdir (make directory) 를 이용해 원하는 곳으로 이동한 뒤
git init 명령어를 사용하면 진행중인 폴더에 .git 폴더가 생성된다.
추후 이 .git 폴더에 버전정보 등이 저장되므로 삭제하면 안 된다.
파일 등록하기 :
v1.txt 파일을 만들고 'version1' 이라고 내용을 입력해 놓았다.
여기서 git status 명령을 치면 Untracked files에 만들어놓은 v1.txt 파일이 등록되어 있으며
commit 할 파일은 'git add <file>..' 명령어를 이용하여 include 하라고 쓰여 있다.
설명대로 'git add v1.txt' 명령을 실행하고 다시 한번 status를 보면 변경사항에 v1.txt가 올라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Commit: 버전관리하기
git을 처음 사용한다면, 버전에 포함될 버전을 만든 이름과 이메일을 설정한다.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<닉네임>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<이메일>
git 설치 후 한 번만 하면 되는 작업이다.
설정이 완료되었으면 git commit 명령어를 실행해본다.
i를 눌러 insert 모드로 변경하고 맨 윗줄에 version 1.0 이라고 적은 뒤
esc를 눌러 입력모드에서 벗어나고, :wq 를 이용해 나간다.
첫번째 버전이 생성된 것이 보인다.
'git log' 명령어를 통해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.
vim을 통해 v1.txt의 내용을 version 2 로 변경했다.
git status 로 확인하면 modified (수정된) 에 v1.txt 파일이 등록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
git add, git commit 단계를 차례로 다시 거친 후 로그를 확인하면
새로운 버전이 등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.
다음 포스팅에서 계속.